Recent Post»

Recent Comment»

« 2025/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02-05 16:06

 
 

리츠(REITs)

Scrap | 2016. 4. 23. 23:39 | Posted by 짱아
반응형

리츠(REITs·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부동산투자회사)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부동산 또는 부동산과 관련된 유가증권에 투자 · 운용하여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배당하는 부동산 간접투자방식이며 부동산투자회사로 번역됩니다.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부동산이나 부동산 관련 대출, 유가증권 등에 투자하고 발생하는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배당하는 부동산투자회사법상의 주식회사 또는 투자 신탁으로 증권의 뮤추얼펀드와 유사하여 "부동산 뮤추얼펀드"라고도 한다. 주로 부동산 개발사업, 임대, 주택저당채권 등에 투자하여 수익을 올리며, 만기는 3년 이상이 대부분이다.

리츠는 설립형태에 따라 회사형과 신탁형으로 구분된다. 회사형은 뮤추얼펀드와 마찬가지로 주식을 발행하여 투자자를 모으는 형태로 투자자에게 일정기간을 단위로 배당을 하며 증권시장에 상장하여 주식을 사고 팔 수 있다. 신탁형은 수익증권을 발행하여 투자자를 모으는 형태로 상장이 금지되어 있다.

200만원의 소액으로도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어 일반인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으며, 증권화가 가능하여 증권시장에 상장하여 언제든지 팔 수 있다. 또한 부동산이라는 실물자산에 투자하여 가격이 안정적이고 리스크가 적은 편이다. 가치상승에 의한 이익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가격상승에 따른 수입증가분의 분배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REITs는 안정적인 간접투자상품과 자산유동화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부동산투자회사법상 일반부동산투자회사와 기업구조조정부동산투자회사(CR-REITs, Corporate Restructuring REITs)로 분류된다. 일반 REITs는 상법상 주식회사로 부동산 간접투자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면 CR-REITs는 서류상의 회사(Paper Company)로 기업의 구조조정용 부동산을 투자대상으로 함으로써 자산유동화를 통한 기업의 구조조정을 지원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리츠의 장단점>

1. 장점
- 유동성(Liquidity)
REITs 주식은 다른 주식과 마찬가지로 투자자들에게 신속한 투자원금 회수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공개된 시장에서 매매된다. 따라서 REITs 주식은 투자자들에게 부동산 자산을 손쉽게 매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해준다. 그렇지만 이 장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REITs가 REITs의 유동성을 포장하여 투자자를 현혹시키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 위험분산(Risk Diversification)
REITs는 여러 종류의 부동산 또는 지역적인 분산투자를 통하여 단일 부동산에 내재하는 위험을 효과적으로 희석시키면서 부동산에 투자하는 위험을 다른 부동산과 여러 지역으로 분산시킨다.
- 공개된 가치/신속한 정보
REITs가 공개시장에서 거래되고 많은 분석가들에 의하여 매일매일 조사되고 있기 때문에 풍부한 정보가 투자자에게 제공된다. 투자예정자는 REITs 주식의 가치에 관하여 현재의 평가내용을 시장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직접관리 비용 또는 부담부존재
유한파트너쉽에서의 유한파트너(Limited Partner, 유한책임주주)와 같이, REITs 주식 소유자는 부동산자산관리의 일상적인 업무에 관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REITs 투자는 투자자의 입장에서 보면 실제로 수동적(Passive)이고 간접적인 투자이다.
- 주주에게 감가상각 반영
REITs 주식의 소유권 속성은 다른 전통적인 주식과 같지만 주주들은 REIT가 가지는 포트폴리요에서 발생하는 부동산의 감가상각(Depreciation)으로부터 조세혜택을 받는다

2. 단점
- 배당과 이익의 내부 유보에 대한 자율적 결정의 제한
- 자산 취득과 매각에 대한 제한
- 수익종류에 대한 제한
- 복잡한 구조

<부동산투자회사(REITs)의 구조>


from 부동산114

반응형
:

추천 토렌트 사이트

Tip | 2016. 4. 23. 05:52 | Posted by 짱아
반응형

토렌트킴
​​https://torrentkim1.net​​

대부분의 파일 검색은 구글에서도 가능.
다만, 이상한 사이트로 들어갈 수도 있다.

반응형
:
반응형

ubuntu apt-get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 발생시 해결 방법

오류 메시지
E: Could not get lock /var/lib/dpkg/lock - open (11: Resource temporarily unavailable)

해결방법

sudo rm /var/lib/apt/lists/* -vf 
sudo apt-get update

반응형
:

root 사용자 SSH 접속 제한하기

Tip | 2016. 4. 21. 00:59 | Posted by 짱아
반응형
1. 일반 접속 계정 생성

# adduser myid


2. sudo user에 등록

# echo 'myid ALL=(ALL) ALL' >> /etc/sudoers

3. root ssh 접속제한

# vi /etc/ssh/sshd_config   PermitRootLogin no

4. ssh 재시작

# /etc/init.d/sshd restart
반응형
:

레드라이스(Red rice)

Scrap | 2016. 4. 17. 13:59 | Posted by 짱아
반응형

아쵸떼(achote)라는 식물의 씨인 아나토(annatto)에서 얻은 색소로 색과 맛을 낸 붉은 빛깔의 쌀밥으로, 선명한 붉은색과 찰진 맛이 특징이다.
스페인 점령 이후, 차모르인들이 아나토를 우려낸 물로 소금과 오일을 넣은 밥을 짓기 시작한 것에서 유래된 레드라이스는 베이컨과 양파, 마늘, 완두콩을 더한 요리로 즐겨 먹기도 한다.


반응형
:

통혁당사건

Scrap | 2016. 4. 17. 02:21 | Posted by 짱아
반응형
통일혁명당 사건은 박정희 정부 시절인 1968년 8월 24일 중앙정보부가 발표한 지하당조직사건이다. 158명이 검거되어 50명의 구속자를 낸 1960년대 최대의 공안 사건으로 김종태를 비롯한 주범들은 사형을 당했다.

중앙정보부장 김형욱은 "김종태가 전후 4차례에 걸쳐 북괴 김일성과 면담하고 '통일혁명당'을 결성하여 혁신정당으로 위장, 합법화하여 반정부·반미데모를 전개하는 등 대정부공격과 반정부적 소요를 유발시키려는 데 주력했다"라고 발표했다.

개요편집

통일혁명당은 김종태가 월북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령·자금을 받고 결성된 혁명 조직이었다. 통혁당은 중앙당인 조선로동당의 지시를 받는 지하당이었다. 주범 김종태·김질락·이문규는 월북해 조선로동당에 입당했고, 당원 이진영·오병헌은 1968년 4월 22일 월북해 교육을 받던 중 1968년 6월 말 통혁당 사건이 터지자 북한에 머물렀다. 이 과정에서 신영복은 김종태, 김질락 등과 일면식도 없다고 언급했으며 후에 조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건으로 김종태, 이문규, 김질락이 사형을 선고 받았다.[2]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육군사관학교에서 교관을 하다가, 구속되었던 신영복은 1심과 2심에서 사형, 대법원에서 무기징역을 선고 받았다.[3] 중앙정보부는 암호를 해독하여, 이문규를 구출하러 북이 파견한 공작선을 격침시키면서 2명을 생포하였고,[4] 이들도 통혁당 관련자로 사형을 언도하였다. 박성준은 자신의 처 한명숙을 포섭하는 등의 혐의로 체포되어 15년 형을 선고받았다. 류낙진은 무기징역을 선고 받았으나 이후 20년 형으로 감형되었다.

이 사건과 관련되어 검거된 자는 모두 158명이었으며, 이들 중 73명이 송치되었고, 23명은 불구속되었다. 무장공작선 1척, 고무보트 1척, 무전기 7대, 기관단총 12정, 수류탄 7개, 무반동총 1정과 권총 7정 및 실탄 140발, 12.7mm 고사총 1정, 중기관총 1정, 레이더와 라디오 수신기 6대, 미화 3만여 달러와 한화 73만여 원 등이 압수되었다.

김종태가 사형을 당하자 김일성은 그에게 영웅 칭호를 수여하고, 해주사범학교를 김종태사범학교로 개칭하였다. 신영복은 사상 전향을 하여 1988년 출소하였다. 그러나 월간 '말'지와의 인터뷰에서 신영복은 전향서는 썼지만, 사상을 바꾼다거나 동지를 배신하는 일은 하지 않았으며, 통혁당에 가담한 것은 양심의 명령 때문이었고 향후로도 양심에 따라 통혁당 가담 때와 비슷한 생각으로 활동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반응형
:

버스요금 환승관련 정보

Daily | 2014. 4. 19. 23:00 | Posted by 짱아
반응형
교통요금 체계는?
 ○ 시내버스, 마을버스는 단일요금제, 지하철은 거리비례요금제이며 환승하여 이용 시에는 통합거리비례요금을 
   적용합니다. 
○ 통합거리비례요금체계는 10Km까지는 기본요금이며 추가 5Km마다 100원씩 요금이 추가됩니다. 
○ 타 교통수단으로 버스나 지하철을 갈아타고 환승하여 이용 시에는 통합거리비례요금제로 10Km까지는 기본요금
   이며 이후 5Km마다 100원씩 요금을 추가로 내셔야 합니다. 
○ 지하철 요금은 10Km까지는 기본요금이며 추가 5Km마다 100원씩 요금이 추가되며, 40km 초과시 추가운임은
   10km마다 100원 추가 됩니다.
○ 교통수단간 환승하여 이용할 수 있는 환승이용횟수는 4회 환승으로 5회까지 탑승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환승시 요금 할인혜택을 받으려면?
 ○ 타교통수단인 버스나 지하철을 갈아타려고 하거나 갈아탔을 때에는 반드시 내릴 때 마다 카드를 접촉하시면 
   됩니다. 
○ 환승이용 유효시간은 하차 후 30분(21시~ 익일 07시까지는 1시간)이내 입니다. 
○ 환승하여 할인혜택을 받고 승차 후 내릴 때 카드를 접촉하지 않고 하차할 경우 다음번에 승차하는 교통수단에서
   앞에 승차한 교통수단의 기본요금을 추가로 징수하게 되는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 ☞ 환승 후 하차 시에 카드를 접촉하게 하는 것은 이용한 탑승거리를 환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입니다. 
○ ☞ 단, 버스만 1회 이용하는 경우, 하차 시 카드를 접촉하지 않아도 됩니다. 
○ ☞ 지하철을 나온 후 다시 지하철을 이용 시에는 환승할인이 되지 않습니다. 
○ ☞ 광역버스는 환승할인 대상이 아닙니다.
 
버스만 1회 승차 시에는 거리에 상관없이 단일요금 적용
 ○ 버스만 단독 승차할 경우에는 탑승거리에 상관없이 기본요금입니다.
○ 그렇지만 환승할 경우에는 탑승거리에 따라 10Km까지 기본요금이며 추가로 5Km마다 100원씩 요금이 추가로부과
   됩니다.
 
버스만 1회 이용 시에는 하차 시 카드를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 타교통수단을 환승하지 않고 버스만 1회 이용할 경우 하차시 카드를 접촉하지 않아도 됩니다.
○ 그러나, 환승 이용을 하였거나 환승할 예정인 경우에는 하차시 카드를 꼭 접촉하여야 합니다.
※ 경기도 버스중 “거리비례요금제” 스티커부착 일부버스 이용 시에는 환승과 관계없이 
   내릴 때 무조건 카드를 접촉해야 합니다. 비 접촉시 최대 700원이 추가 징수됩니다.
 
지하철과 지하철, 광역버스 이용시 환승할인 혜택이 없음
 ○ 지하철은 게이트를 나와 하차한 후 다시 30분 이전에 지하철로 재승차를 하여 이용 하여도 환승할인 적용이 안 
   됩니다. 
○ ☞ 지하철은 내부에서 환승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광역버스는 환승할인 적용이 안 됩니다. 
○ 그러나, 지하철을 이용하고 버스(마을버스 포함)를 이용한 후 다시 지하철을 재승차 하면 환승할인 적용이 됩니다.
반응형
:

Stateful, Stateless

Network | 2014. 3. 7. 02:17 | Posted by 짱아
반응형


Stateless는 http와 같이 이전의 상태를 기록하지 않는 접속입니다.
어떤 절차에 따른 작업을 하기 위해서 웹서버에 접속을 하고 작업을 진행하다 접속이 끊어졌을때 작업을 새로이 시작해야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긴 요즈음의 경우 쿠키같은 것으로 조금은 개선이 되어 있기는 하지만요..
결국 웹서버가 사용자의 작업을 기억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에 비해 stateful은 상태를 기억하고 있는 것입니다. 아마 이에 대한 적절한 예는 온라인 게임의 경우라고 볼 수 있겠네요. 사용자가 진행한 작업또는 사용자의 요청을 서버가 기록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다시 게임에 로그온 했을때는 이전에 기록된 단계에서 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럼 방화벽에서의 stateful은 이러합니다.
일반적인 라우터 기반의 방화벽은 tcp 패킷의 syn 또는 syn-ack로서 처리를 하는데 방화벽 내부에 위치한 네트워크로 들어보는 패킷을 차단하려면 라우터의 프로세서가 패킷의 tcp 헤더를 열어서 tcp헤더 정보가 syn인것은 차단하고 syn-ack는 통과 결정 하므로 상당한 부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방화벽에서는 stateful 패킷 필터링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내부네트워크에서 외부로 접속하는 접속에 대한 정보(syn)를 기록하고 외부에서 내부로의 응답(syn-ack)이 오게 되면 방화벽의 프로세서는 응답을 기록된 정보와 비교해서 정보가 존재하면 선택적으로 통과 시키게 됩니다. stateful기능이 없다면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 오는 패킷은 모두 차단되어 버리는 결과가 발생하므로 패킷을 하나하나 열어서 tcp 헤더를 확인해야 되므로 고속처리는 어려워 지게 됩니다.

결국 접속의 상태를 기록(또는 유지)하느냐 안하느냐의 차이라고 개념을 잡으심 되겠고요..해석하실때는 그냥 stateful 또는 stateless라고 적으시면 됩니다.


반응형
:

정찬우 - 겨울왕국 렛잇고 미친소 버전

Daily | 2014. 3. 4. 23:25 | Posted by 짱아
반응형



반응형
:

/etc/hosts 파일 등록

Tip | 2014. 3. 4. 23:23 | Posted by 짱아
반응형

/etc/hosts 파일 설정하기


# cat /etc/hosts

127.0.0.1   localhost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4 localhost4.localdomain4

::1         localhost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6 localhost6.localdomain6


기본 구조


IP [tab] host name [tab] Alias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