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

Recent Comment»

« 2024/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05-13 00:07

 
 
반응형
해외에서 운영하는 웹하드로 한국어 버전도 제공을 하고 있으며, 가입과 이용이 간단하기 때문에 국내 사용도 많지 않을까 생각한다.

> 서비스명 : 4Shared.com (홈페이지)

> 서비스 특징
  1. 회원가입 절차가 간단하다.(이메일이면 OK)
  2. 10GB의 용량을 무료 제공한다.
  3. 업로드 용량 제한은 200MB이다. (유료 프리미엄이용시 5GB)(프리미엄 정보 자세히)
  4.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웹에서 업/다운로드 가능하다.
  5. 폴더/파일별 공유설정이 가능하다.
  6. 데스크탑 버전과 툴바버전을 제공한다.
  7. 무료이용시 다운로드 전에 광고가 노출된다.
   ※ 무료로 기간 제한없이 10GB의 용량을 웹 기반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 충분히 매력적이다.


> 이용방법
  1. 회원가입하기 : 이메일만 있으면 회원가입 가능하며, 기존에 가지고 있는  Google이나 OpenID를 이용해서도 로그인 가능

  2. 로그인 후 4shared.com 메인화면
  3. 파일 업로드하기(화면하단에 왼쪽 하단에 위치)

      - 단일 파일과 여러개의 파일을 선택하여 업로드 할 수 있다. (여러개의 파일 업로드시 1개씩 순차적으로 업로드되며, 데스크탑 버전을 통해서 여러개의 파일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듯..)

  4. 폴더 공개 설정 변경하기 : 내 폴더를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
      - 화면 오른쪽 상단의 "Share"를 클릭하여 설정 가능



4shared.com에서 다른 사용자들이 올려놓은 파일들을 검색 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국내의 현재 인기 음악 몇곡을 검색하였을 때, 대부분 검색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렇다면, 국내 웹하드 처럼 드라마 등 영상물들도 있을까 싶어, 몇몇 드라마를 검색해 보았으나 검색결과는 거의 없었다. 이유는 200MB의 용량제한 때문인듯...






반응형
:

무료 음악 MP3 다운로드 사이트(let'sbe.net)

Service | 2010. 4. 26. 14:54 | Posted by 짱아
반응형
최근에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유료 음악사이트에 정액제 결제를 한 이후에 다운로드를 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지 않을까 싶다. 혹자는 일부 웹하드나 P2P 사이트에서 간헐적으로(?) 배포되고 있는 음악파일을 구해 음악감상을 할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유튜브에 올려진 뮤직비디오 영상을 다운로드 툴을 이용하여 감상하거나, 영상파일에서 음원을 추출하여 듣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음악과 관련해서는 최근 몇년간의 저작권보호 노력으로 인해 많은 부분, "음악은 공짜다."라는 인식에서 정상결제를 통해 들을 수 있다는 인식이 많이 자리 잡히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노력을 위해 앞장서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의 노력이 결실을 보고 있다는 해외 시사잡지의 기사도 눈에 보인다. ("한국 불법복제와 전쟁서 드문 승리")


하지만, 이러한 노력과 변화 속에서도 음원을 무료로 검색&다운로드 할 수 있는 사이트들은 아직도 생겨나고 있다.  그 중 하나...

http://www.letsbe.net/


몇 개의 음악을 검색하여 본 결과, 검색도 잘 되고 다운로드도 잘 된다.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나 회원가입 절차도 없다.
이 사이트가 언제가지 운영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음악을 즐겨듣는 이들에게는 유용할 것 같다.



반응형
:

P2P, 웹하드 가격비교(?) 사이트

Service | 2009. 10. 9. 14:31 | Posted by 짱아
반응형
최근 네이버, 다음 포털에서 저작권 보호 명분으로 웹하드, P2P 서비스들과 관련한 검색광고가 중단되었다. 7월 23일 검색광고 중단 이후 네이버에서는 웹하드, P2P 서비스들의 바로가기, 프로그램 다운로드 등과 관련한 모든 링크를 제거하면서 웹하드, P2P 서비스들로의 포털 검색을 통한 접근 경로를 막았다.

포털의 위와 같은 정책변경으로 네티즌들의 욕구를 해소해 주기 위한(?) 전문 커뮤니티성 사이트들이 눈에 보인다. (물론, 사이트 운영은 이전부터 되었는데, 위와 같은 이유로 나의 눈에 최근에 들어오는지도 모를일이다.)

그 중 우연히 발견한 사이트 땡구닷컴. 웹하드, P2P 사이트의 가격비교 사이트랄까??


그 외 사이트..
http://www.p2pnews.co.kr/   : 말 그대로 웹하드와 P2P의 최근 소식들을 전해주는 사이트이다.
http://www.searchfile.co.kr/  : 웹하드에 올려진 자료들을 검색하여 주는 사이트(예전에 유행했던 클럽박스 전문 검색사이트의 발전형 이랄까...)


반응형
:

AWS(Amazon Web Services)

Service | 2008. 9. 17. 17:56 | Posted by 짱아
반응형
아마존닷컴은 온라인 쇼핑몰로 유명하다.
하지만, 아마존 닷컴은 웹서비스를 하는데 필요한 기술적인 플랫폼이라 할수 있는 AWS를 제공하고 있다.
이 AWS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고 Jeff Bezos(아마존닷컴 CEO)는 이야기한다.

Easy to use
Fast
Elastic
Highly available
Pay by the drink
* "Pay by the drink"는 아마존 닷컴의 AWS에 대한 과금모델에 대한 용어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PAYG(Pay-As-You-Go)라는 의미와 같다.
반응형
: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 증가

Service | 2008. 9. 4. 16:59 | Posted by 짱아
반응형

내가 가지고 있는 컴퓨터는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노트북 1대, 데스트탑 1대, 그리고 집에 노트북, 데스크탑 1대 이렇게 총 4대를 이용하고 있다. 나에게는 아직 없으나 여기에 어떤 사람들은 PDA, UMPC, 모바일 기기까지 포함하게 된다면 많게는 5개 이상의 기기에 자신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각각의 기기에 담겨진 자료들은 특정 기기에만 한정된 자료도 있겠지만, 모든 기기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자료들도 있을 것이다.

이야기의 중심은 후자의 공통으로 사용하는 자료들이다.

공통으로 사용하는 자료는 노트북, 데스트탑, 모바일 모든 곳에서 사용하는 정보이다. 이러한 예는 일정관리, 연락처, 즐겨듣는 음악 등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위와 같은 공통이용자료를 자동으로 항상 같은 내용을 맞춰 준다면 어떨까?
당연히 나의 수고를 덜어주고, 같은 내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니 편리하다.
같은 내용이 두 곳이상에 있으니 기기 분실, 고장등의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정보는 살릴 수 있다.
사무실에서 작업하던 내용이 특별한 작업없이 그대로 집으로 옮겨질 수 있다.


이러한 공통이용자료의 관리라는 요구사항이 발생되는 것에 대해,
"이제는 PC라는 기기중심에서 PI(Personal Information)라는 개인정보 중심으로 바뀐것이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기기간의 자료를 동일하게 맞춰주는 기능을 DAS(Data Auto Synchronization)라 부르고싶다

◆ DAS 서비스 모음
    1. sugarsync(해외)
    2. syncplicity(해외)
    3. xync(국내)
    4. syncfolder(국내)
    5. osasync(해외)

반응형
: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믿을 수 있는 친구 네트워크를 통해 사람들을 연결해 주는 온라인커뮤니티"
알렉사  2007년 5월 23일 확인한 사이트 순위 8위!!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계정은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가능하며, 최초 로그인을 한 경우 가입자의 기본정보(생년월일, 설별, 지역 등..)를 시작으로 종료, 유머감각, 패션, 음주, 담배 항목등이 객관식 문항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는다.
이후 관심사, 연락처, 온라인 쇼핑 희망목록, 직장 등과 관련된 세부적인 주관식 위주의 질문항목이 있다.
개인 프로필을 생성하는 공간이다. 주관식 항목이어서 '나중에 업데이트'..skip

로그인 후 메인페이지에는 현재 연결된 사람의 수가 나온다. 다음 단계에는 뭘 해야하고, 덤으로 운세도 나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여한 사람은 많으나 커뮤니티에 들어가보니 국내에는 많이 활성화 되지 못한 듯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반응형
: